조은수학

고등학교(하) 부분집합의 개수

고등수학
부분집합의 개수는 말그대로
개수를  공식에 넣어  구하면
쉽게 구할 수 있어요

그런데  공식을 적용하더라도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혹은 개수에는 어떤 집합이 있는지
확인 할 필요가  있어요.

간단한 예로 1,2를 원소를
갖는 부분집합은 공식에  적용하면
4가지 인데  공집합과 자기자신 집합은
반드시 포함되므로 원소 1개로 이루어져
있는 집합 2개을 합해서 총4개로
구성됨을 알 수 있죠

이런 방법으로  진부분집합은
자기자신 집합만 제외하므로
한 만 빼면 되겠네요

좀 더 들어가서 특정원소를
포함하는 방법은 일단 특정 원소를
제외하고 남은 원소로 부분집합을
만들면 되겠군

똑같은 방법으로 특정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제외하여 부분집합을
구한다

이런식으로 만들어 보면
더 많은 것도 생각 할 수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 단원에 조합이
나옵니다.

집합을 개수를 알아보는데
조합을 이용하면 되는데
부분집합을 만들때 순서는  생각을
고려하지 않고 나열하죠.
그런 생각해보면 개수  구하는
방법이 부분집합의 개수를
조합을 이용해서도 구할 수가 있겠죠

예로 1,2를 원소로 하는 부분집합은
총4개 만들어 보았죠

조합으로 만들어보면
기호 사용은 생략하고
원소 2개 중에서 원소 0개  택하면 1개
원소 2개 중에서  원소 1개 택하면 2개
원소 2개 중에서 원소 2개 택하면 1개

이런 생각으로 만들어 보면
부분집합에  대한 생각을 넓게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고등수학(하) 내용 중에 간접증명법 간단히 올려요.

고등수학

직접 증명이 어려운 경우에

아래와 같이 대우를 이용한 증명과 귀류법을 사용하여

증명을 하게 되죠.

 

증명을 하기 위에서는 명제가 주어지게 되죠.

명제에는 가정과 결론으로 조건이 구성되어 있죠.

대우를 이용한 증명을 하려면 원명제를 대우 명제로 바꾸어

증명해 나가면 되고

귀류법은 결론을 부정 한 다음 증명해 나가면 됩니다.

대우를 이용한 증명과 귀류법이 조금 비슷해 보이지만

증명과정(방법)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증명 문제는 눈으로 확인하는 것보다 직접 연습장에

직접 증명하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증명에 빠진 부분이 없는지 확인도 중요하고요.

오늘은 명제단원에 증명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중1수학 2학기 평행선과 동위각과 엇각

중학수학
앱내용 중에 동위각과 엇각에 대해서
가져왔어요.
평행선이 나오면 따라 오는 것이
동위각과 엇각이죠

말그대로  동위각은 같은 위치에는
각을  두 각을  말하며
엇각은 엇갈린 두 각을 의미해요

평행선이 있고 평행선을 지나는
직선이 있으면 동위각과  엇각을
생각해 보아야 해요

그림과 같이 한 쌍의 평행선에서는
4쌍의 동위각이 있고
2쌍의 엇각이 있다는 것이 보이죠.

평행선이 하나 더 추가 되면
복잡나요
그려보고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역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면
두 직선은 평행하다"
사실도 기억해야 해요.

동위각과 엇각은 뜻을 잘 이해하고
그림에서 위치를 잘 기억한다면
찾는데는 문제가 없겠죠

오늘은 평행선에서 동위각과 엇각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중2수학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

중학수학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은 중요합니다.
삼각형 내용이 나오면 자주 등장해요.
원이 삼각형의 내부에 접하는가
혹은 원이 삼각형의 외부에 접하는가
에 따라 모양을 생각 할 수 있어요.

처음 학습 할 때는
내심과 외심의 정의  정확히  알고
성질들을 기억하면서 위 그림처럼
그려 봅니다.

내용을 암기보다 그림을 직접 여러번
그려 기억하는 것이 이해도 쉽고
오래 남습니다.

알 때까지 그려봅시다.
그리고 내용을 정확히  기억만  한다면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어요.


중3수학은 간단한 삼각형의 넓이에 대해

중학수학
앱에  있는 내용 중에서 임의로
가져 왔어요

삼각형에도 어떤 조건이 주어지는가에
따라서  넓이 구하는 방식이 다양하죠.
중3수학 2학기 과정에  피타고라스를
배우고 이  내용을 활용해서
정삼각형,이등변삼각형,일반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어요.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를
알고 구하잖아요

위 정삼각형도 공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한 변을 이용해서 높이를  구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이 과정 알고 다음부터 정삼각형 넓이와
관련 있는 문제가 나오면  자유롭게
넓이 공식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이등변삼각형은 두 변의 길이가 같죠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꼭짓점에서
대변에 수선을 내려서 피타고라스를
적용해서 구하면 되고
일반삼각형도 원리 같아요.
피타고라스를 활용해서
넓이 구한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중3수학 피타고라스에 증명 부분

중학수학
앱에는 상세한 증명설명은
생략했고 그 대신 그림과 중요핵심만
올렸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넓이를 활용해
피타고라스 증명이 눈에 들어오죠

피타고라스 증명이 많은데
교과 내용을 기본으로  증명해 보고
다른 증명도 관심이 있으면
해보는 것도 좋겠네요

학교 시험에는 상세한 증명보다
증명과정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이용해 문제가 출제되므로

위에 그림처럼 넓이가 같은  삼각형,
사각형이 어떤 것이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것도 증명과정에서 얻어지므로
증명만 하고 끝나면
나중에 문제를 푸는데
적용이 안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어요

증명하고 한 번 더 그림을
보면서 위와 같은 메모해 두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됩니다.